본문 바로가기
금융

채권과 금리의 관계

by mythlee 2023. 8. 19.

채권과 금리는 금융 시장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채권투자에 앞서 이들 간의 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금리변동에 따른 채권투자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번 글을 올립니다.

채권과 금리의 관계는 아래 4가지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방향 관계 (Inverse Relationship) : 일반적으로 채권 가격과 금리는 역방향 관계를 가집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새로운 채권 발행 시 제공되는 이자율이 높아지므로, 이미 발행된 채권의 이자 수익은 비교적 낮아집니다. 따라서 기존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여 현재 시장 이자율과 조정됩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의 이자 수익이 높아지므로 기존 채권의 가격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채권과 금리관계

 


시장 이자율(시장금리)과 고정 이자율(표면금리) : 채권은 발행 시점에 고정 이자율을 가지는 고정금리(표면금리) 채권과 시장 이자율에 따라 변동하는 변동금리(시장금리) 채권으로 나뉩니다. 고정금리 채권은 발행 시점의 이자율이 채권의 만기 동안 유지되므로, 시장 이자율 변동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하지만 변동금리 채권은 시장 이자율 변동에 직접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매수 압력과 매도 압력 :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의 이자 수익이 상승하므로, 새로운 투자자들은 높은 이자율을 얻기 위해 해당 채권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이는 기존 채권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매수 압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면 기존 채권의 이자 수익이 하락하므로 매수 압력이 줄어들고 매도 압력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시 이야기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면 채권의 수익율은 증가한다는 사실입니다.. 즉 투자자는 금리가 높아지면서 새롭게 발행된 채권의 고금리 상품의 투자수익보다 채권가격이 하락하여 발생된 투자수익율이 높기에 채권 가격이 하락한 종목을 사게 되며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여기서 투자 수익율이 시장금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상기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시장에 채권의 액면가가 100만 원, 시장 매매가도 100만 원인 채권이 있습니다. 이 채권은 1년 후가 만기이고 이자 10만 원을 주는 채권입니다. 즉 만기일에는 원금과 이자를 합친 11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채권의 연간 투자 수익율은 10% 입니다.

  • 시장에서 이 채권의 가격이 90만 원으로 떨어지면, 여러분이라면 이 채권을 사게 되면 1년 후에 110만 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채권의 투자 수익율은 22.2% 가 됩니다. 즉 만기 때 받는 돈이 110만 원으로 정해져 있는데 채권 가격이 떨어지면서 투자수익율이 10%에서 22.2%로 두 배 이상 오른 것입니다. 즉 투자자들의 본 채권을 사고자 하는 구매력이 상승하여 매수 압력을 받게 됩니다.(시장금리의 상승)
  • 반대의 경우는 어떨까요? 이번에는 시장에서 이 채권의 가격이 105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여러분이 105만 원으로 이 채권을 사게 되면 1년 후에 11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인데, 이 채권은 투자 수익율은 4.7% 가 됩니다. 채권 가격이 5만 원 오르면서 투자수익율이 4.7%로 떨어지게 된 것이죠. 그럼 투자자들은 이자 수익이 하락하므로 인하여 매도하고자 할 것이며 이로 인하여 매도 압력을 받게 됩니다.(시장금리의 하락)

경기 상황과 인플레이션 영향 : 경기가 호조일 때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 안정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 금리가 상승하게 되며, 이는 채권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인플레이션과 경기 둘 다 불안정한 경우에는 투자자들이 안전한 투자처를 찾아 채권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만기 시점까지 부도 위험이 없다면 원금과 이자가 확정되어있다는 채권의 특성 때문에 채권 가격과 투자 수익율은 반대로 움직입니다. 위에 설명드린바와 같이 채권 가격이 떨이지면 수익율(시장금리)이 올라가고, 채권 가격이 오르면 수익율(금리)이 내려간다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채권 투자 수익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채권 가격이 변동해도 관계없는 표면금리로 표현되는 이자 수익과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와 채권 가격의 변동에 따른 자본손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채권투자수익

이상으로 채권과 금리에 대한 관계를 설명드렸으며, 그 상식을 기반하여 월 배당을 주면서 채권에 투자하는 ETF 상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